여행 사진/경상도 여행

[경남 창녕] 관룡사

chegnow 2009. 9. 8. 20:31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구룡산(九龍山) 중턱에 있는 절.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신라시대부터 있었다는 사찰로서 〈사기 寺記〉에 의하면 349년에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확실하지 않다. 전설에 의하면 원효가 제자 송파(松坡)와 함께 이곳에서 100일기도를 드릴 때 오색채운이 영롱한 하늘을 향해 화왕산(火旺山)으로부터 9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절 이름은 관룡사, 산 이름은 구룡산이라 했다고 한다. 1401년(태종 1) 대웅전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7년(광해군 9) 영운(靈雲)이 재건했다. 1704년(숙종 30) 가을 대홍수로 금당이 유실되었으며 1712년(숙종 38) 대웅전과 다른 당우들을 재건했다. 1749년 다시 부분적인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사찰 내에는 보물 제212호인 대웅전, 보물 제146호인 약사전(藥師殿), 보물 제295호인 용선대석조석가여래좌상(龍船臺石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제519호인 석불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인 3층석탑 등의 귀중한 문화재들이 있다.

역시 갑자기... 무작정 오늘은 창녕 관룡사다... 그러고 갔던 곳...

화왕산 입장료가 있었다... 대인 1인 1,000원에 주차료 2,000원...

창녕 화왕산자락에 있는 구룡산 중턱에 위치한 관룡사앞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바라본 절의 풍경...

범종각이 멋지게 서있다... 그리고 뒷쪽으로 어떤 건물을 보수하고 있었고...

전체적으로 풍겨오는 절의 이미지는 조용했다... 웅장하지도 않고... 딱 내가 좋아하는 절이다...ㅎㅎㅎ

 

주차장에서 돌계단을 오르면 조그마한 돌문이 있다... 이것이 원래 이 관룡사의 일주문이라고 한다...

그 돌문사이로 비치는 관룡사의 범종각과 나무,돌담, 그리고 흙길... 운치있다...

 

길을 따라 들어오면 화왕산 관룡사라는 현판이 걸려있는 새로 지은 일주문이 있다...

내부 양쪽으로 공간이 있는것으로 보아 사대천왕도 모실모양이다... 그럼 일주문도 아니고 천왕문도 아니고...

뭐지??

 

일주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범종각이 떡하니 위치하고 있다...

 

아래사진은 문화재자료 제 140호, 관룡사 원음각인데 지금 보수가 한창이다...

 

대웅전이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 212호로 지정된 관룡사 대웅전은 원래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특이하게 이 관룡사 대웅전엔 비로자나삼존불을 모시고 있다. 1965년 8월 보수공사 때, 천장 부근에서 발견한 기록에 따르면 이 건물은 조선 태종 1년(1401)에 짓고,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 9년(1617)에 고쳐 세워, 이듬해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앞면과 옆면이 모두 3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가운데부분을 한층 높게 한 점이 특이하다. 고 문화재청은 소개한다...

 

대웅전 내부 모습이다... 삼존불과 천정의 연등이 이쁘다...

 

그리고 대웅전을 정면에서 봤을때 왼쪽에 자리한 명부전...

딱히 무슨 안내내용이 없다...

 

그리고, 이곳이 관룡사의 또다른 보물... 약사전이다...

보물 제 146호로 지정되어 있다...

약사전은 조선 전기의 건물로 추정하며, 건물 안에는 중생의 병을 고쳐 준다는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1칸·옆면 1칸으로 매우 작은 불당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간결한 형태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라고 문화재청은 소개를 하고 있다...

 

약사전 앞으로 삼층석탑도 있다...

이 삼층석탑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11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룡사 경내에 있는 방형(方形)의 삼층석탑으로, 암반을 이용하여 하층기단을 조성하고 하층기단의 4면에는 각각 2개씩의 안상(眼象)을 새겼다. 하층기단 면석에는 양우주와 탱주를 조각했으며, 옥개석(屋盖石)과 탑신석(塔身石)은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하였다.
 부분적으로 파손되었으나 조각수법과 양식은 신라시대 3층 석탑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규모가 즐어들고 각부의 양식 수법이 간략해지고 섬약해진 것을 보아 고려시대 전반의 작품일 것으로 추정된단다.

 

그리고, 약사전 안에 있는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이것역시 보물 제 519호로 지정되어 있다...

표현기법에 있어 절의 서쪽 계곡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용선대 석조여래좌상(보물 제295호)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머리에는 큼직하게 표현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고 이마 위쪽으로 반달 모양이 표현되어 고려시대 불상의 머리 형식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귀는 길게 늘어져 어깨까지 내려오고, 목에 있어야 할 3개의 주름은 가슴 윗부분에 표현되고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옷주름은 얕은 선을 이용해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겉옷 안에는 두 가닥의 접힌 옷자락이 역시 도식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오른손은 왼발 위에, 왼손은 오른발 위에 놓여 있는 독특한 손모양이며 왼손 위에는 약그릇이 놓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를 모두 갖추고 있는데, 연속된 거북이 등모양으로 연꽃을 표현하고 있는 상대가 특이하다.
머리에 표현된 반달 모양과 형식화된 세부표현 기법 등에서 용선대 석조여래좌상을 고려시대에 이 지방의 장인이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라고 문화재청은 소개하고 있다... 

 

이곳은 약수먹는 곳...ㅎㅎㅎ

 

대웅전을 정면으로 봤을때 오른쪽에는 칠성각이 있다...

역시 따로 소개 된 글은 없다...

 

그리고 칠성각 뒤로 응진전이 있다...

역시 별다른 소개는 없다... 

 

응진전 옆에 산령각이 조그맣게 자리잡고 있다...

 

이제 절은 그만 구경하고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으로 함 가보자...

용선대는 명부전 옆, 산길을 약 480미터를 올라가면 있다...

아래사진은 올라가는 산길이다... 돌로 계단을 만들어 놓아서 미끄러질 염려는 없으나 다리는 아프다...ㅎㅎ

그리고 가다보면 절벽아닌 절벽도 타야한다...ㅎㅎㅎ

 

그리하야 도착한 용선대다...

용선대에 멋지게 자리잡고 있는 석조석가여래좌상...

역시 보물 제295호로 지정되어있다...

관룡사 서쪽의 봉우리인 용선대 마루에 동향(東向)하여 앉힌 여래좌상으로, 석굴암의 본존불과 똑같은 양식으로 조성된 불상이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높은 대좌 위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한 좌상(坐像)은, 나발(螺髮)의 머리에는 육계(肉?)가 높고 큼직하며 얼굴은 4각형에 가까우나 풍만하다.
목의 삼도(三道)는 가슴까지 내려와서 형식화(形式化)를 지향하고 있다.
결가부좌한 모습에 통견(通肩)의 법의(法衣)는 몸에 밀착된 것이며,몸은 통일초기처럼 당당하지는 못하나 통통하고 안정감을 주며,특히 하체의 의문(衣文)은 형식화되고 있고 광배(光背)는 결실(缺失)되어 있다.
대좌(臺座)의 상대(上臺)는 반구형(半球形)이며, 판내(瓣內)에 화문(花紋)이 있는 중판(重瓣) 연화문(蓮花文)이 앙연(仰蓮)으로 조각되고 중대석(中臺石)은 8각이며 각 모서리에 주형(柱形)이 있다.
이 불상 바로 앞에 하대석(下臺石)만 남아 있는 석등이 있는데, 불상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이곳에 와서 정성으로 기도를 드리면 한가지 소원은 꼭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 소개한다... 

 

필자는 이 사진을 보고 너무나 가보고 싶었다...

어제 가본 구례 사성암에 비할 풍경이다...

뒤로 화왕산과 구룡산 병풍바위가 위치해있어 정말이지 멋진 장관을 이루고 있다...

여기가 구룡산 병풍바위... 

 

이렇게 관룡사를 둘러보고 나왔다...

이런 조용하고 운치있는 사찰을 알아갈 때마다 너무 좋다...ㅎㅎㅎ

 

그리고, 주차장에서 차를 몰고 내려오다가 자칫 잘못하다 놓칠뻔한 석장승 되겠다...ㅎㅎㅎ

시도민속자료 제6호(창녕군)로 지정되어있다...

관룡사로 가는 오솔길 양쪽에 서 있는 한 쌍의 돌장승이다.
사찰 입구에 두는 장승은 절의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과 더불어 잡귀의 출입을 막고, 풍수지리적으로 허한 곳의 기운을 불어넣는 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곳의 장승은 사찰의 경계표시·수문장의 역할과 함께 마을 사람들에 의해 그들의 수호신이 되고 있다.
왼쪽에 있는 남장승은 높이 220㎝ 둘레 70㎝의 크기로, 상투를 얹은 듯한 둥근 머리에 관모를 쓰고 있다. 툭 튀어 나온 커다란 눈, 콧구멍이 뚫려있는 주먹코가 특이하며, 콧잔등에는 두 개의 주름을 새겨 놓았고, 꼭 다문 입술 사이로 송곳니 두개가 뻗어 나와 있다. 오른쪽의 여장승은 높이 250㎝, 둘레 80㎝로, 사다리꼴 모양의 받침돌 위에 구멍을 파서 세웠다. 상투모양이 조각되어 있지만 남장승과는 달리 관모가 없다. 두 장승 모두 몸체에는 아무런 글귀가 없으며, 육중한 몸매로 인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언제 만들어 세웠는지는 알 수 없으나, 불교와 민간신앙이 결합된 신앙물로 민간의 소박한 미의식이 잘 표현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라고 문화재청은 소개하고 있다...

 

1시간 정도의 짧은 방문이었지만 그 여운은 좀 길게 남을듯하다...

 

2009년 9월 8일, 창녕 관룡사를 다녀오다...